▣우산정사 한옥의 향기/준비-한옥과 귀촌

4 한옥 초석 놓기 - 주춧돌 놓기 *풍수지리 용어

woosanje 2012. 9. 7. 11:41

 

「내 손으로 한옥 짓는 법」 공부하기 메모

 

주춧돌은 기둥 밑에 받치는 돌로서

집의 하중을 땅으로 분산시키고, 목조 건축에서 지면의 습기를 차단해 준다

 

4 한옥의 초석

 

1 초석의 구실

ㅇ 습기 차단

 -석재 건축물인 이집트 신전이나 아테네 신전에도 초석이 있지만

일반적으로 초석은 목재 기둥의 부식을 방지하는 기능을 한다

-기둥이 네개 이상이면 초석에 구멍을 뚫지 않고 세워도 기둥이 쓰러지지 않는다

   홍살문이나 일주문 같은 경우는 아직도 구멍있는 초석을 사용한다

 

<초반, 운두, 주좌 그림>

 

 -초석 옆구리에 구멍을 내거나 초석 상부에 미세한 물매를 만들어 물기가 빠지도록 한다

 -네모난 기둥을 받치는 초석에는 주좌를 만들지 않는다.

  목재가 마르면 변형이 생기는데 한옥에서는 이를 '기둥이 돈다'고 한다.

  네모난 기둥이 돌면 주좌의 각과 어긋나 버리기 때문이다.

 -원형 기둥에는 주좌가 기능이나 의장면에서 유효한 방업이다

 

ㅇ하중 분산

 -효율적인 하중 분산을 위해 기둥과 만나는 윗부분은 좁게

   지면과 만나는 아래부분은 넓게 만든다

 옛 건축법에 '초석 하부 면의 너비는 기둥 지름의 두배'가 일반적이다

 

2. 초석의 종류

ㅇ자연석 초석

ㅇ가공 초석

 -일반적으로 화강석을 가공하여 쓴다.

 -형태에 따라 원형, 방형, 팔각, 사다리형, 장초석, 고막이 초석 등이 있다

 -초석은 온돌과 마루에 맞춰 높이를 맞춘다

 

<초석 사진>

 통도사 초석과 근정전 초석들

 

 

3. 초석의 계획과 주문

ㅇ초석의 높이 고려

 -초석의 운두는 실내 바닥높이와 상관한다

 -초석 높이 + 귀틀 높이 = 방바닥(마루바닥) 높이

 

<강릉 칠사당 초석>

 

 

 

 

ㅇ초석의 넓이 고려

 -일반적으로 원주에는 원형초석을 방주에는 방형 초석을 사용하지만

원주에 방형초석도 잘 어울리며 사용하고자 하는 기둥의 굵기에 따라

초석을 계획해야 한다

 -윗부분이 너무 넓으면 물빠짐이 나쁘고 좁으면 기둥이 돌 때 어긋나기 쉽다

*윗면에서 기둥과 초석가장자리의 여유치를 보면

 궁궐 건축은 약 4치 내외이고, 살림집은 약 2치 내외이다. (1치=3.3cm)

 -초반의 높이도 기둥 직경정도로 하지만 화강석의 강도가 높고

최근 콘크리트 기초 등을 감안 할 때 아랫면 넓이도 좁게하는 경향이 있다

* 위 사진 근정전 기둥과 초반 참조

 

 

ㅇ주변 마감과의 관계 고려

 -공사 시초에 하는 초석 계획은 마감 공사와 연계하여 검토한다

 

<연경당 수인문 초석>은 주변의 화방벽과 조화를 위해 크게 했다

 

 

 

ㅇ초석의 주문

 -화강석 초석은 현장에서 가공하지 않고 석재회사인 돌공장에 주문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불확실한 주문은 원치 않는 초석이 배달 될 수 있으므로 정확한 주문을 위해

도면을 그려 주문하는 것이 좋다.

 

4. 초석의 설치

ㅇ먼저 규준틀을 설치 한다

 -터파기와 기초공사 때는 대략적인 실 띄우기만 하고(공사중 흐트러지니까)

초석을 놓을 때 정확한 규준틀을 놓은 것이 좋다

-평면적으로 정확한 위치와 정확한 높이(초석의 윗면)를 표시하기 위함이다

ㅇ다음 실 띄우기를 하는데 이를 '청명 본다'고 한다

-정확한 직각을 위해 전통적인 구고현법(句股弦法)을 사용하는데

 이는 피타고라스 정리와 같다.

*우리나라 삼국시대에 이미 피타고라스 정리를 사용했다

 

 

 

 -문짝을 활용(직각이 잘 되어 있으니까)해 실을 띄우기도 한다

*유의 : 설계사무소에서는 1자를 30cm 하여 도면을 그리는 경우가 많은데

실제 목수들이 쓰는 자는 1자가 30.3cm이고 40자라면 무려 12센치 차이가 난다

ㅇ기둥과 초석면이 만나는 부분의 그레발 작업(깎아 맞춤)도 중요하다

 

<<참고문헌>>

「 한옥 짓는 법」 - 김종남 지음, 돌베개 간행

「 한옥의 멋」 - 신광철 지음, 한 문화사 간행

「 한옥 짓는 이야기」 - 정민자 지음, 중앙M&B 간행

「 전통 한옥의 조영원리와 공간활용 」 - 삼진건축사사무소 이봉수 소장(문화재기술자/건축사)

「 한옥 견실시공 정착」 - 전라남도 워크샵 자료(2010년)

「 한옥의 특징과 신한옥 기술 정책방향」 - 한옥정책 Brief No3(2011.12월) / 한옥기술개발연구단장 김왕직 외

「 한옥시공 메뉴얼 및 표준설계도서」 - 전라남도 자료

외  

 

-------------------------------------------------------------------------------------

한옥을 찾아서 - 우산

 

의성 금성산 아래 산운마을의 학록정사 앞에서 항아 2012.7월 

 

한옥의 마당이

여름철 뜨거운 햇빛에 달구어지면

배산임수의 지형에 따라 뒷편 산자락에서

시원한 산바람(낮 바람)이 툇마루, 대청마루를 통해

앞마당으로 불어 열기를 식혀준다

 

여름철에 고온다습한 우리나라 기후에 앞마당에 잔듸를 심으면

습해서 좋이 않기 때문에 여염집이나 궁궐이나 대부분 잔듸를 심지 않고

백토(반사광 이용)를 섞은 흙마당으로 했다.

 

항아가 좋아하는 잔듸 공간을 어디에 만들어야 하나?

 

 

------------------------------------------------------------

풍수지리

 

4. 풍수지리 용어

 

 ㅇ 풍수 : 藏風得水의 준말로서 장서에서 나온 말이다

  즉, 땅의 생기가 모이기 위해서는 산세가 행룡을 하다가

바람이 적고(장풍) 낮은 곳(득수)을 만나야 한다는 뜻이다

 

ㅇ 음택 양택

 음택은 죽은 사람이 거주하는 묘자리를 말하고

 양택은 산 사람이 거주하는 집자리를 말한다

 

ㅇ용과 절

  용이란 산줄기의 흐름, 그 起伏之玄하는 모습을 말하고

  절이란 용이 枝脚을 발생하는 곳, 마디를 말한다

 

ㅇ맥과 맥로

  땅속에서 만들어진 생기가 움직이는 것을 脈이라 하고

  맥이 지나가는 길을 맥로라 하는데 경락과 같다고 보면 된다

 

ㅇ내룡과 용맥

  태조산에서 시작한 용이 중조산, 소조산, 부모산을 거쳐 연결된 산줄기를 내룡이라 한다

내룡에는 맥이 있으므로 내룡맥 또는 용맥이라고 한다

 

태조산(조산, 발조산) : 내룡이 처음 시작한 산

- 중조산(종산) : 태조산과 중조산의 사이에 있는 산

- 소조산(주산,관국산,후산,진산) : 내룡이 혈성을 만들기 조금 전에

   작국하기 위해 높이 솟은 산

- 부모산(입수산,용입수) : 내룡이 마지막으로 솟은 부위로 용의 머리에 비유하여 입수산이라고 한다

 

ㅇ혈성, 혈장, 혈심

- 穴星은 결연한 산을 말한다.

  용은 부모산에서 끝나고 결인속기 한후에 다시 기봉하여 혈성을 만든다

  5星, 9星

- 穴場은 혈성 안에서 생기가 융취된 혈토와 그를 둘러싼 승금,상수,인목 등을 총칭한다

- 穴心은 혈토의 요처 자리이다

 

ㅇ입수(혈입수)

  혈성의 산정과 혈장 사이에 있는 분수척으로서 용입수와 구분하기 위해 혈입수라 한다

 

ㅇ좌와 향

  坐는 봉분 앞에에 상석 자리에서 봉분의 중심종선을 바라보는 자리이고

  向은 그 반대이며 좌향의 측정은 24방위를 사용한다

 

ㅇ현무,주작,청룡, 백호

  혈에서 산이 오는 쪽을 등지고 있을 대

  뒤산이 玄武(북), 앞산이 朱雀(남), 왼쪽산이 靑龍(동), 오른쪽 산이 白虎(서)이다

 

ㅇ안산과 조산

   案山은 혈의 앞쪽 가까이 있는 작고 낮은 산이고

   朝山은 그 뒤로 멀리 있는 크고 높은 산이다

 

ㅇ귀산과 낙산

   내룡산이 혈의 뒤쪽에 있을 때는 귀산과 낙산이 없고

   횡룡입수한 경우에 필요한 산이다

   鬼山은 혈성에서 발생한 산이 혈성 뒤쪽을 받혀주는 산이다

   樂山은 내룡에서 발생한 산이나 외산이 뒤쪽을 받혀주는 산이다

 

ㅇ득수처와 파구처, 득과 파

 - 得水處는 혈성이나 용호 안에서 물이 생기는 자리 또는

  來水가 혈에서 처음 보이는 자리이다

  - 破口處는 去水가 용호사이를 나가는 자리 또는 大水와 만나는 자리

  또는 거수가 혈에서 마지막 보이는 자리를 말한다

 

ㅇ明堂

  좋은 묘자리나 집터를 한마디로 명당이라고 하나

혈 앞에 물이 모이는 자리 즉 평평한 곳을 말하며

내명당,외명당 또는 소명당,중명당,대명당으로 나눈다

-산의 용맥을 타고 흐르는 기가 뭉친 곳이 음약택간의 명당이다

 

ㅇ砂

  혈 주위에 있는 산들을 사라고 한다

 

ㅇ形勢

  용혈사수의 모양과 힘을 가리키지만

형은 穴을, 세는 龍을 가리키기도 한다

 

ㅁ 용과 물의 음양배합이라는 것은

용은 음이요, 물은 유동하기 때문에 양이라 한다

 

"풍수지리적 결지의 원리는 용과 수의 배합과 음양의 교배로 혈이 맺어진 것"이다

즉, 산과 물이 잘 어울린 곳을 찾아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