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쓰기 행서, 습작을 스캔하면서
아울러 귀한 자료인 백체천자문도 정리한다.
서예 행서 - 11. 여모정결 남효재량, 지과필개 득능막망
ㅇ 여모정결 남효재량
여자는 곧고 깨끗함을 사랑하고, 남자는 재능을 닦고 어진것을 본받아야 한다
- 여자 여, 사모할 모, 곧을 정, 깨끗할 결, 사내 남, 본받을 효, 재주 재, 어질 량
백체천자문 - 전수전(轉宿篆)
송나라 때 사마가 지은 글씨체라고 한다
피지 않은 연꽃 형상의 글씨라는 해석이 있는데
전수를 해석해보면 별자리 글씨같기도 하고...
ㅇ 지과필개 득능막망
허물을 알면 반드시 고치고, 배운 것은 잊지 않도록 한다
-알 지, 허물 과, 반드시 필, 고칠 개, 얻을 득, 능할 능, 말 막, 잊을 망
마지막 잊을 망字는 행서체가 너무도 멋이 없어(개인적으로 보았을 때)
차라리 해서 비슷하게 썼다.
글쓰는 사람이 이런 글씨체를 만날 때 마다
나름 새로운 형태의 글을 창조하나 보다.
백체천자문 - 방직전(方直篆)
이 글씨체는 방직전인데 마름모꼴 곧은 글씨체이다.
한나라 때 양웅이 만들었다고 한다.
천자문을 처음 공부할 때 분석해 보았더니
일반적, 교훈적인 내용은 576자 이었고,
중국 역사를 칭송하는 글자가 무려 424자나 되었다
겹치는 자가 없어 서예 공부하기는 좋으나
구태어 그 고사까지 다 알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다
한자의 뜻만 알고 넘어가도 무난하다는 사견이다 /우산
'▣시서화첩(詩書畵帖) > 행서, 백체천자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서 및 백체 천자문 13. 묵비사염 시찬고양, 경행유현 극념작성 (0) | 2013.08.27 |
---|---|
행서 및 백체천자문 12. 망담피단 미시기장, 신사가복 기욕난량 (0) | 2013.08.20 |
행서 및 백체천자문 10. 개차신발 사대오상, 공유국양 기감훼상 (0) | 2013.08.06 |
행서 및 백체천자문 9. 명봉재수 백구식장, 화피초목 뇌급만방 (0) | 2013.08.02 |
행서 및 백체천자문 8.애육려수 신복융강, 하이일체 솔빈귀왕 (0) | 2013.07.23 |